천재들은 건망증이 심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인류가 낳은 천재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은 집주소도 몰라 남의 집으로 퇴근할 만큼 심한 건망증 환자였습니다.작곡가 슈베르트는 한 곡을 끝마치기가 무섭게 다른 곡으로 악상이 이어질 만큼 천재성을 발휘한 그였지만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즉시, 전에 자신이 작곡한 곡을 모두 잊어버릴 만큼 망각능력이 뛰어났다고 합니다. 베토벤 역시 건망증이 심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그는 화장실에 갔다가 바지 단추를 잠그지 않은 채 무도회장에 들어가 웃음거리가 되기 일쑤였습니다. 심지어 자신의 곡을 연주하는 사람에게 “누구의 곡인지 참으로 훌륭하다”고 감탄했다고 합니다.
그들은 왜 건망증이 심한 걸까요. 저는 역사적인 위인들이 종종 심한 건망증 증상을 보이는 이유는 바로 그들이 선택과 집중의 귀재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자신이 집중하고 싶은 것에 대해서는 폭발적인 집중력을 발휘하지만 그 외의 일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지요.
어쩌면 이러한 극단적인 선택과 집중이 그들을 사회부적응자로 만드는 걸지도 모릅니다. 때문에 이정도의 극단적인 선택과 집중이 모두에게 바람직한 것은 아닐지라도 우리사회는 지나치게 멀티플레이어를 강요합니다. 엄친아, 엄친딸이라는 말처럼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야 직성이 풀리는 것 처럼 말이죠.
“한 분야의 천재가 아니라면 다재다능한 것이 좋다.”라는 인식은 천재들도 하기 힘든 것을 마치 천재가 아니기 때문에 그래야만 한다는 모순된 생각을 낳게 됩니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한가지 분야에 몰두하는 능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뛰어난 전문가가 탄생되기 힘든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지요. 게다가 전문가가 되기까지 다소 소모적이고 불필요한 경력 관리로 인해 오랜 시간을 지체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기 때문에 사회구조를 바꾸자는 외침은 여러분에게 공허하게 느껴질 것입니다. 지금 당장 취업문제가 걸려있는데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한가지에만 몰두하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아이러니하게도 이 소모적인 경쟁에서 살아남는 방법 또한 선택과 집중이 관건이 됩니다. 즉, 집중하는 방법을 익혀서 빨리 탈출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뛰어난 집중력으로 토익을 3개월만에 끝낸 사람과 토익을 1년만에 끝낸 사람의 스펙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극명해질 것 입니다.
결국 스펙싸움은 집중력 싸움이라고 해도 될 만큼, 그 분야에서 얼마나 뛰어난가 보다는 그 동안 얼마나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했는가가 결정하게 됩니다.
1. 시간을 정해두고 시작해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중 하나는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것입니다. 무언가를 시작할 때 그 것을 끝낼 시간을 정해두고 일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너무 긴 시간을 배정하는 것은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자신이 최대로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분이든 30분이든 말이죠. 가능하면 자신이 최대로 집중할 수 있는 시간에 할 수 있는 양보다 약간 더 많은 양을 목표로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한번에 한가지 일에만 몰두해라.
우리뇌는 완벽한 멀티태스킹이 불가능합니다.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를하고 독서를 하면서 TV를 볼 지라도, 실제로는 어느하나 자신의 능력을 100% 발휘한 것이 없게 되는 것이죠. 같은 맥락으로 카페에서 5~6시간을 공부하는 것 보다는 도서관에서 2~3시간을 공부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자신이 준비하고 있는 것에 대한 가치를 이해해라.
자신이 하는 일의 가치를 제대로 아는 것은 그 일에 집중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누군가가 토익 공부를 왜 해야하는지 물어봐야 그 이유를 상기시키는 것이 아니라, 왜 그것을 해야만 하고 왜 그것을 빨리 끝내야 득이 되는지 항상 염두해 두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소한 정리정돈이라도 그것을 해야 하는 의미와 필요성을 진정으로 인식하면 그 일에 훨씬 집중하게 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는 한국인의 7가지 습관 (3) | 2024.11.09 |
---|---|
찰스 스왑의 2만 5천달러짜리 교훈과 소망노트 (0) | 2024.11.09 |
손정의가 성공할 수 밖에 없었던 5가지 이유 (5) | 2024.10.17 |
유대인의 돈 버는 비결 “후리소매” (5) | 2024.10.17 |
리더쉽의 노하우 20 (2) |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