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도성모수희불사(仙桃聖母隨喜佛事)-삼국유사(三國遺事)

眞平王朝(진평왕조) : 진평왕(眞平王) 때
有比丘尼名智惠(유비구니명지혜) : 지혜(智惠)라는 비구니(比丘尼)가 있어
多賢行(다현행) : 어진 행실이 많았다.


住安興寺(주안흥사) : 안흥사(安興寺)에 살았는데
擬新修佛殿而力未也(의신수불전이력미야) : 새로 불전(佛殿)을 수리하려 했지만 힘이 모자랐다.


夢一女仙風儀綽約(몽일여선풍의작약) : 어느날 꿈에 모양이 아름답고
珠翠飾鬟(주취식환) : 구슬로 머리를 장식한 한 선녀가 와서
來慰曰(래위왈) : 그를 위로해 말했다.
我是仙桃山神母也(아시선도산신모야) : "나는 바로 선도산(仙桃山) 신모(神母)인데
喜汝欲修佛殿(희여욕수불전) : 네게 불전을 수리하려 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하여
願施金十斤以助之(원시금십근이조지) : 금 10근을 주어 돕고자 한다.
宜取金於予座下(의취금어여좌하) : 내가 있는 자리 밑에서 금을 꺼내서
粧點主尊三像(장점주존삼상) : 주존(主尊) 삼상(三像)을 장식하고
壁上繪五十三佛(벽상회오십삼불) : 벽 위에는 오십삼불과
六類聖衆(륙류성중) : 육류성중(六類聖衆)
及諸天神(급제천신) : 및 모든 천신(天神)과
五岳神君(오악신군) : 오악(五岳)의 신군을
(羅時五岳(나시오악) : (신라 때의 五岳은
謂東吐含山(위동토함산) : 동의 토함산,
南智異山(남지리산) : 남의 지리산,
西雞龍(서계룡) : 서의 계룡산,
北太伯(배태백) : 북의 태백산,
中父岳(중부악) : 중앙의 부악,
亦云公山也(역운공산야) : 또는 공산이다)
每春秋二季之十日(매춘추이계지십일) : 해마다 봄과 가을의 10일에
叢會善男善女(총회선남선녀) : 남녀 신도들을 많이 모아
廣爲一切含靈(광위일절함령) : 널리 모든 함령(含靈)을 위해서
設占察法會以爲恒規(설점찰법회이위항규) : 점찰법회(占擦法會)를 베푸는 것으로써 일정한 규정을 삼도록 하라

(本朝屈弗池龍(본조굴불지룡) : (본조 屈弗池의 용이
託夢於帝(탁몽어제) : 황제의 꿈에 나타나
請於靈鷲山長開藥師道場(청어령취산장개약사도장) : 영취산에 낙사도장을 영구히 열어
平海途(평해도) : 바닷길이 편안할 것을 청한 일이 있는데
其事亦同(기사역동) : 그 일도 역시 이와 같다.)

惠乃驚覺(혜내경교) : 지혜가 놀라 꿈에서 깨어
率徒往神祠座下(률도왕신사좌하) : 무리들을 데리고 신사(神祀) 자리 밑에 가서,
堀得黃金一百六十兩(굴득황금일백륙십량) : 황금 160냥을 파내어
克就乃功(극취내공) : 불전 수리하는 일을 완성했으니,
皆依神母所諭(개의신모소유) : 모두 신모(神母)가 시키는 대로 따랐던 것이다.


其事唯存(기사유존) : 그러나 그 사적은 남아 있지만
而法事廢矣(이법사폐의) : 법사(法事)는 폐지되었다.
神母本中國帝室之女(신모본중국제실지녀) : 신모는 본래 중국 제실(帝室)의 딸이며,
名娑蘇(명사소) : 이름은 사소(娑蘇)였다.
早得神仙之術(조득신선지술) : 일찍이 신선의 술법(術法)을 배워
歸止海東(귀지해동) : 해동(海東)에 와서
久而不還(구이부환) : 머물러 오랫동안 돌아 가지 않았다.
父皇寄書繫足云(부황기서계족운) : 이에 부황(父皇)이 소리개 발에 매달아 그에게 보낸 편지에 말했다.
隨鳶所止爲家(수연소지위가) : "소리개가 머무는 곳에 집을 지으라."
蘇得書放鳶(소득서방연) : 사소는 편지를 보고 소리개를 놓아 보내니,
飛到此山而止(비도차산이지) : 이 선도산(仙桃山)으로 날아와서 멈추므로
遂來宅爲地仙(수내댁위지선) : 드디어 거기에 살아 지선(地仙)이 되었다.
故名西鳶山(고명서연산) : 때문에 산 이름은 서연산(西鳶山)이라고 했다.


神母久據玆山(신모구거자산) : 신모는 오랫동안 이 산에서 살면서
鎭祐邦國(진우방국) : 나라를 진호(鎭護)하니
靈異甚多(령리심다) : 신령스럽고 이상한 일이 매우 많았다.
有國已來(유국이내) : 때문에 나라가 세워진 뒤로
常爲三祀之一(상위삼사지일) : 항상 삼사(三祀)의 하나로 삼았고,
秩在群望之上(질재군망지상) : 그 차례도 여러 망(望)의 위에 있었다.

第五十四景明王好使鷹(제오십사경명왕호사응) : 제 54대 경명왕(景明王)이 매사냥을 좋아하여
嘗登此放鷹而失之(상등차방응이실지) : 일찍이 여기에 올라가서 매를 놓았다가 잃어버렸다.
禱於神母曰(도어신모왈) : 이 일로 해서 신모에게 기도했다.
若得鷹(야득응) : "만일 매를 찾게 된다면
當封爵(당봉작) : 마땅히 성모(聖母)께 작(爵)을 봉해 드리겠습니다."
俄而鷹飛來止机上(아이응비내지궤상) : 이윽고 매가 날아와서 책상 위에 앉으므로
因封爵大王焉(인봉작대왕언) : 성모를 대왕(大王)에 봉작(封爵)하였다.
其始到辰韓也(기시도신한야) : 그가 처음 신한(辰韓)에 와서
生聖子爲東國始君(생성자위동국시군) : 성자(聖子)를 낳아 동국(東國)의 처음 임금이 되었으니
蓋赫居閼英二聖之所自也(개혁거알영이성지소자야) : 필경 혁거세(赫居世)와 알영(閼英)의 두 성군(聖君)을 낳았을 것이다.
故稱雞龍雞林白馬等(고칭계룡계림백마등) : 때문에 계룡(鷄龍)ㆍ계림(鷄林)ㆍ백마(白馬) 등으로 일컬으니
雞屬西故也(계속서고야) : 이는 닭이 서쪽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嘗使諸天仙織羅(상사제천선직라) : 성모는 일찍이 제천(諸天)의 선녀에게 비단을 짜게 해서
緋染作朝衣(비염작조의) : 붉은빛으로 물들여 조복(朝服)을 만들어
贈其夫(증기부) : 남편에게 주었으니,
國人因此始知神驗(국인인차시지신험) : 나라 사람들은 이 때문에 비로소 신비스러운 영험을 알게 되었다.

又國史(우국사) : 또 <국사(國史)>에 보면,
史臣曰(사신왈) : 사신(史臣)이 말하기를
軾政和中(식정화중) : "김부식(金富軾)이 정화(政和) 연간에
嘗奉使入宋(상봉사입송) : 일찍이 사신으로 송나라에 들어가
詣佑神館(예우신관) : 우신관(佑神館)에 나갔더니
有一堂(유일당) : 한 당(堂)이 있는데
設女仙像(설녀선상) : 여선(女仙)의 상(像)이 모셔져 있었다.
館伴學士王黼曰(관반학사왕보왈) : 관반학사(館伴學士) 왕보(王보)가 말하기를,
此是貴國之神(차시귀국지신) : '이것은 귀국의 신인데
公知之乎(공지지호) : 공은 알고 있습니까' 했다.
遂言曰(수언왈) : 그리고 이어 말하기를,
古有中國帝室之女(고유중국제실지녀) : “옛날에 어떤 중국 제실(帝室)의 딸이
泛海抵辰韓(범해저신한) : 바다를 건너 진한(辰韓)으로 가서
生子爲海東始祖(생자위해동시조) : 아들을 낳았더니 그가 해동의 시조가 되었고,
女爲地仙(녀위지선) : 또 그 여인은 지선(地仙)이 되어
長在仙桃山(장재선도산) : 길이 선도산(仙桃山)에 있는데
此其像也(차기상야) : 이것이 바로 그 여인의 상입니다.' 했다."

又大宋國使王襄到我朝(우대송국사왕양도아조) : 또 송나라 사신 왕양(王襄)이 우리 조정에 와서
祭東神聖母(제동신성모) : 동신성모(東神聖母)를 제사지낼 때에
文有娠賢肇邦之句(문유신현조방지구) : 그 제문에, "어진 사람을 낳아 비로소 나라를 세웠다."는 글귀가 있었다.
今能施金奉佛(금능시금봉불) : 성모가 이제 황금을 주어 부처를 받들게 하고,
爲含生開香火(위함생개향화) : 중생을 위해서 향화법회(香火法會)를 열어
作津梁(작진량) : 진량(津梁)을 만들었으니
豈徒學長生而囿於溟濛者哉(개도학장생이유어명몽자재) : 어찌 다만 오래 사는 술법(術法)만 배워서 저 아득한 속에만 사로잡힐 것이랴.

讚曰(찬왈) : 찬해서 말한다.

來宅西鳶幾十霜(내댁서연기십상) : 서연산에 와서 몇십 년이나 지냈는가.
招呼帝子織霓裳(초호제자직예상) : 천제의 여인 불러 예상을 짰었도다
長生未必無生異(장생미필무생리) : 길이 사는 법도 이상한 일 없지 않았지만
故謁金仙作玉皇(고알금선작옥황) : 그대서 금선 뵙고 옥황이 되었노라네.

 

반응형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용(九容)  (0) 2020.12.11
도화원기(桃花源記) - 무릉도원을 찾아서  (0) 2020.05.31
산중문답(山中問答) - 이백(李白)  (0) 2020.05.31
중용 원문 현토 / 중용 해석  (0) 2020.05.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