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근담(菜根譚)은 중국 명나라 말기에

문인 홍자성 ( 홍응명(洪應明), 환초도인(還初道人) )이 저작한 책이다.

책의 구성은 전편 222조, 후편 135조로 구성되었고,

주로 전편은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말하였고,

후편에서는 자연에 대한 즐거움을 표현 하였다.

그리고, 인생의 처세를 다룬다.

채근(菜根)이란 나무 잎사귀나 뿌리처럼 변변치 않은 음식을 말한다.

유교, 불교, 도교의 사상을 융합하여 교훈을 주는 가르침으로 꾸며져 있다.

 

 

채근담의 명언

 

사람을 믿는다는 것은 사람이 반드시 모두 성실하지 못하더라도 자기만은 홀로 성실하기 때문이며,

사람을 의심하는 것은 사람이 반드시 모두 속이지 않더라도 자기가 먼저 스스로를 속이기 때문이니라. 

 

생각이 너그럽고 두터운 사람은 봄바람이 따뜻하게 만물을 기르는 듯하여 무엇이든지 이런 사람을 만나면 살아나고,

마음이 모질고 각박한 사람은 차가운 눈이 만물을 얼게 하는 듯하여 무엇이든지 이런 사람을 만나면 죽느니라. 

 

오래 엎드린 새는 반드시 높게 날고 먼저 핀 꽃은 홀로 일찍 떨어진다.

사람도 이런 이치를 알면 가히 발을 헛디딜 근심을 면할 수 있고,

가히 초조한 생각을 없앨 수 있느니라. 

 

석화의 불빛 속에서 길고 짧음을 다툰들 그 시간이 얼마나 길겠는가.

달팽이 뿔 위에서 자웅을 겨룬들 그 세계가 얼마나 넓겠는가. 

(와각지쟁(蝸角之爭), 와우각상쟁(蝸牛角上爭), 와각상쟁(蝸角相爭), 와우지쟁(蝸牛之爭) ) 

 

사나운 짐승은 굴복받기 쉬워도 사람의 마음은 항복받기 어렵고,

골짜기는 채우기 쉬워도 사람의 마음은 채우기 어렵다. 

 

마음이 넓으면 만종(萬鐘)의 녹(祿)도 질항아리와 같고,

마음이 좁으면 터럭 하나라도 수레바퀴와 같게 보이느니라.

 

새끼로도 톱삼아서 오래 쓰면 나무를 자르고,

물방울도 오래 떨어지면 돌을 뚫는다. (수적천석(水滴穿石) )

도(道)를 배우는 사람은 모름지기 힘써 찾기를 더할 것이니라.

물이 모이면 도랑이 되고, 오이는 익으면 꼭지가 떨어지나니 도를 얻으려는 사람은 하늘에 일임할지니라. 

 

나무는 뿌리로 돌아간 뒤에라야 꽃과 가지와 잎의 헛된 영화를 알게 되고,

사람은 관 뚜껑을 덮은 다음에라야 자손과 재물이 쓸데없다는 것을 알게 되느니라. 

 

사람을 부림에는 마땅히 각박하지 말라.  각박하게 대하면 성과를 올리려는 사람은 떠나느니라.

친구를 사귐에는 마땅히 마구 사귀지 말라. 마구 사귀면 아첨하는 자가 모여드느니라. 

 

배고프면 달라붙고, 배부르면 떠나가며,

따뜻하면 몰려들고, 추우면 버리나니

이것이 바로 인정의 널리 퍼진 폐단이다.

 

성질이 조급하고 마음이 거친 자는 한 가지도 이루어지는 일이 없고,

마음이 화평하고 기상이 평탄한 자는 백 가지 복이 절로 모이느니라. 

 

세상을 살아감에는 마땅히 세속과 같게 하지도 말고, 또한 다르게 하지도 말라.
일을 함에는 마땅히 남을 싫어하게 하지도 말고 또한 기쁘게 하지도 말라.

 

남을 꾸짖을 때는 허물이 있는 가운데서도 허물없음을 찾아내면 감정이 평온해지리라.

자기를 꾸짖을 때는 허물없는 속에서도 허물 있음을 찾아내면 덕이 자라나리라. 

 

늙은 눈으로 젊음을 보면 바쁘게 달리고 서로 다투는 마음을 가히 없앨 수 있고,

쇠퇴한 처지에서 영화로움을 보면 사치하고 화려한 것을 가히 끊을 수 있느니라. 

반응형

+ Recent posts